자본배분의 안정성 분석(비유동비율,비유동장기적합률)에 대해 공부해보자!!
경영분석을 공부하시는 분이라면 알고 계셔야하는 자본배분의 안정성 분석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려고 하는데요!
자본배분의 안정성 분석은 왜 하는지!?
이 분석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자본배분의 안정성 분석은 자본 조달과 운용사이의 균형관계를 통하여
안정성을 간접적으로 판단하려고 분석 하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조달된 자본이 기업의 자산에 얼마나 적절하게 배분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며, 자본배분의 안정성 분석을 위해 구하는 비율에는 비유동비율,
비유동장기적합률이 있습니다.
각 비율의 계산법은??
비유동비율은 기업의 자본중에서 비유동자산이 얼마나 투자되어있는가를 보는
비율로써 구하는 공식은 = x 100 이고,
비유동장기적합률은 기업이 자본만으로 비유동자산이 감당이 되지 않을 때,
자본+비유동부채로 감당이 되는지 측정하기 위한 비율로써 구하는 공식은
= x 100 입니다.
이제 아래의 재무상태표를 보고 각 비율을 구해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
오잉오잉기업
유동자산 (현금예금 (매출채권 (재고자산 |
100) 300) 200) |
600 |
유동부채 (매입채무 (단기차입금 |
250) 150) |
400 | ||
|
|
|
비유동부채 (장기차입금 (사채 |
200) 150) |
350 | ||
비유동자산 (투자자산 (유형자산 |
150) 250) |
400 |
|
|
| ||
|
|
|
자본 (자본금 (이익잉여금 |
150) 100) |
250 | ||
자산총계 |
1000 |
자본총계 |
1000 | ||||
비유동비율 = x 100 = 160% , 비유동장기적합률 =
x 100 = 66.66%
라는 답을 구할 수가 있습니다.
각 비율들을 구했으면 이제는! 이 기업의 상태와 해결방안을 내줘야 겠죠??!
동종업계 산업평균과 예를 들어 비교하는 것을 보도록 할게요~~
재무비율 |
오잉오잉기업 |
산업평균 |
평가 |
비유동비율 비유동장기적합률 |
250% 114% |
150% 80% |
불량 불량 |
비유동장기적합률이 100%를 넘은 것으로 보아 비유동자산에 투자된 자본 중 일부가
유동부채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본다면 자본배분의 안정성이 매우
떨어짐을 의미하고 단기부채를 장기부채 또는 자기자본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분석이랑 해결 방안까지 모두 보았는데요~
복잡하고 어렵다 생각하기보다는 이러한 비율들을 왜 구하는 것일까?
공식은 왜 이런 공식일까?? 천천히 이해하려는 마음으로 공부하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것 같아요~
그럼 자본배분의 안정성 분석에 대한 포스팅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손공장실험과 메이요( George Elton Mayo ) (0) | 2014.06.02 |
---|---|
재무상태표 분석에서 레버리지비율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4.05.22 |